반응형

저녁에 머 먹을까 잠깐 고민하다가...

냉장고와 반찬거리를 찾다가 결정한

참치비빔밥.

회사 추석 선물로 받은 참치세트에 있던 고추참치 1캔.

고추참치는 잘 안먹는거라서 처리할 겸 결정.

밥은 햇반 1개.

밥을 하려 했으나 이전에 사 놓은 햇반의 유통기한이 이번달 중순까지다.

그리고 사 놓고 조금씩 먹는 대패삼겹살 2줄.

밥과 참치만으로는 너무 단순한 느낌이라 조금 넣어봤다.

이것만으로는 조금 부족해서 마무리로 계란후라이 1개.

먹어본 맛은~ ㅋㅋㅋ

그냥 예상했듯이 고추참치비빔밥 맛이다.

대패삼겹살을 넣어서 조금 더 맛이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삼겹살은 고추참치의 맛에 가려버렸다. 삼겹살의 식감만 남아 있을뿐...

그래도 계란후라이가 있어서 맛의 균형을 잡아준 느낌이다. ^^

간단히 차려 먹기에는 정말 적당한 요리~ ㅋㅋ

728x90
반응형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10 백파더 오므라이스  (0) 2021.01.10
201225 굽네 고추 바사삭 시리즈  (0) 2020.12.25
201218 전자레인지 팝콘  (0) 2020.12.19
201004 주말의 김치전~  (0) 2020.10.05
200405 주말의 스파게티  (0) 2020.04.07
반응형

저녁에 딱히 먹을 것이 생각나지 않아서 그냥 김치전 만들었다.

대충 조금만 만들 생각이였는데...

큰 물컵으로 물 두 컵을 넣은게 실수 였다.

종이컵으로 치면 4컵 정도의 양.

물 양에 맞게 부침가루를 넣으니...

헐... 무지 많이 들어가네...

대략 조금 걸죽해질 정도까지 넣으면서 반죽하고.

이번에는 김치를... 이 양에 맞게 넣으니...

한 포기 다 들어갔다. ㅡ.ㅡ;

후라이팬에 올려서 적당한 크기로 부치고~

완성~ 먹음직 스러워 보인다~ ^^

반죽한 것을 다 부치니~

사진의 접시를 가득 채우고 두 접시가 나왔다.

와이프랑 둘이서 한 접시는 다 먹고,

남은건 내일 밥 반찬으로~ ㅋㅋ

728x90
반응형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10 백파더 오므라이스  (0) 2021.01.10
201225 굽네 고추 바사삭 시리즈  (0) 2020.12.25
201218 전자레인지 팝콘  (0) 2020.12.19
201006 오늘의 저녁밥은 참치비빔밥  (0) 2020.10.06
200405 주말의 스파게티  (0) 2020.04.07
반응형

 

한줄의 소스코드 문자열이 너무 길어 질 때,

소스의 가독성이 떨어진다.

이럴 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 링크 사이트를 참조하였다.

 

 

https://heroeskdw.tistory.com/entry/%EC%BD%94%EB%94%A9%EB%AC%B8%EC%9E%90%EC%97%B4-%EB%A6%AC%ED%84%B0%EB%9F%B4-%EC%97%B0%EA%B2%B0

 

[코딩]문자열 리터럴 연결

두 줄 이상이 필요한 문자열 리터럴을 형성하려면 두 문자열을 연결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백슬래시를 입력한 다음 리턴 키를 누릅니다. 백슬래시를 사용하면 컴파일러가 다음 줄 바꿈 문자를 �

heroeskdw.tistory.com

 

첫 번째 방법 문자열에 백슬래쉬를 입력하고 엔터키를 입력한다.

 

 

두 번째 방법 문자열을 " "로 각각 묶어서 사용한다.

 

 

 

참고로 STM32 컴파일러 System Workbenth는 두 번째 방법을 자동으로 지원한다.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29 STM32F103 - PWM (TIM4_CH2)  (0) 2020.10.15
201013 백래시  (0) 2020.10.13
200925 스텝 모터 드라이버 (TB6560AHQ) excitation mode  (0) 2020.09.26
200319 산요 팬 속도 제어  (0) 2020.09.25
200923 SystemWorkbench - Source folder copy  (0) 2020.09.24
반응형

 

엑셀에 도형을 넣고 여러 도형을 선택할 때 컨트롤을 누른 상태에서 선택하는 불편함이 있다.

마우스로 영역을 지정하여 선택하려고 하면 셀 영역이 선택된다.

도형만 선택하고 싶은데... 그래서 찾으니 방법이 있었다. 역시 검색하니 친절한 분들이 다 올려 놓으셨다.

나도 간단히 정리. 오피스365 기준.

 

홈 > 찾기 및 선택 > 개체 선택

이렇게 선택하면 개체 선택 모드가 된다. 이 모드에서 영역을 지정하여 개체를 선택할 수 있다.

 

 

 

개체 선택을 하면 개체 선택 모드가 되어 있으므로 다시 해제하려면 개체 선택 메뉴를 다시 선택해야 한다.

 

 

 

이 작업을 더 편하게 하기 위해서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추가를 해 놓으면 된다.

개체 선택 메뉴에서 오른쪽 클릭 >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 추가.

 

 

 

아래와 같이 개체 선택 도구가 추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기능을 몰라서 그 동안 일일이 모든 개체를 선택하고 있었다.

진작 검색해 볼걸~ ^^

 

 

 

728x90
반응형
반응형

 

스텝 모터 드라이버 (TB6560AHQ)를 사용하는데 설정하는 excitation mode.

 

 

 

Full step, Half step, micro step (1/4, 1/8, 1/16) 으로 표시되지 않고 phase로 표시되어 있다.

전기적 특성표를 보면 phase와 theta로 알수 있다.

 

 

 

그러나 더 알아보기 쉬운 방법으로 다른 device는 아래와 같이 표시되어 있다.

이것을 보면 driving mode를 이해하기가 더 쉽다.

 

C.f.) Step motor driver AD1231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13 백래시  (0) 2020.10.13
200928 SystemWorkbench - 문자열 연결  (0) 2020.09.28
200319 산요 팬 속도 제어  (0) 2020.09.25
200923 SystemWorkbench - Source folder copy  (0) 2020.09.24
180124 Absolute vs. Incremental encoder  (0) 2020.09.22
반응형

 

San Ace B120 model (24V model 로 테스트)

 

Blower : Cooling fan specialized for high static pressure

 

 

 

PWM 으로 속도 제어가 가능한 팬의 제어 기능.

 

 

5V level의 PWM 신호를 인가해야 한다.

"Control terminal이 open일 경우, fan speed는 PWM duty cycle 100%와 같다"고 마지막 설명에 나와 있다.

 

 

4번 항목의 내용을 보면 100% PWM duty로 테스트를 해 보려면 control wire를 open으로 하면 된다.

그러나 B120 (24V) model은 위 사양의 PWM duty-speed 특성그래프에서 PWM 0%가 low speed 이므로 control wire를 open 하면 낮은 속도로 동작한다.

참고로 전원을 인가하고 Control 신호를 open 상태에서 측정해 보면 1.485V가 측정된다.

따라서 B120은 100% PWM duty로 테스트 해 보려면 5V를 인가해 주어야 한다.

C.f.) San Ace 80은 3.20V가 측정된다. Duty cycle 100%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STM32용 무료 컴파일러 System Workbench.

Eclipse 기반 컴파일러.

두 개의 워크스페이스를 열고 다른 워크스페이스의 소스 폴더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하면

아래와 같이 복사된 소스 폴더는 사선 마크가 나타난다. (ex. HAL folder)

 

 

이 폴더를 오른쪽 클릭하여 속성을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Exclude resource from build가 check 되어 있다.

이 check를 해제하면 build 에 포함되는 일반적인 소스폴더가 된다.

 

 

Exclude resource from build가 해제된 상태의 HAL folder.

 

 

 

 

참고로 다른 워크스페이스에서 소스를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하면 링크만 복사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소스 폴더와 내부 파일도 복사된 워크스페이스 소스 폴더에 복사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Visual studio로 컴파일 하고 다른 PC에서 실행하기 위해 실행파일과 라이브러리를 복사하고 실행하였는데

실행까지는 잘 되고 특정 버튼을 누르면 DLL이 로드되지 않으면서 에러 메시지를 띄웠다.

같은 경로에 DLL까지 있는데 왜 로드되지 않을까?

 

 

재배포패키지가 필요한 것인가? 재배포패키지도 설치하여 보았지만 결과는 동일했다.

 

개발자 PC에서는 잘 실행되는데 일반 PC에서는 문제가 있다.

개발자 PC에는 개발툴이 설치되어 있어서 문제가 없다. 일반 PC는?

고민끝에 찾아낸 버그.

 

개발자 PC에서 디버그 모드로 컴파일하고 배포하니 일반 PC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것이였다.

개발자 PC에서 릴리즈 모드로 컴파일하고 배포하면 일반 PC에서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위 과정은 직장 동료가 겪은 디버깅 경험담이다.

 

개발 후 배포시에는 반드시 릴리즈 모드로 배포하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