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만든 우분투 USB를 내 노트북에 설치.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에서 USB 부팅 설정을 해야 한다.

USB 부팅은 이럴 때 아니면 하지 않아서 자주 잊어 버리니 나중에 정리하고... ^^

 

USB 부팅이 되면서 자동으로 설치가 시작된다. 이 과정은 캡춰를 할 수 없으니 사진으로~ ㅋㅋ

우분투 20.04 버전 설치 시작~

 

 

기존에 윈도우로 사용하던 PC라서 Windows Boot Manager가 있다고 아래와 같이 나온다.

그냥 자동으로 인식된 것을 그대로 두고,

지금 설치 선택.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는데...

계속하기 선택.

 

 

아래와 같은 파티션 테이블 변경 메시지도 나오는데...

계속하기 선택.

 

 

이후로는 정상적인 설치과정을 거쳐서 설치가 완료되었다.

PC 사양 때문인지 설치에 조금 시간이 오래 걸렸다.

이제 우분투에 익숙해져야지 잘 사용하도록 익숙해지면 윈도우를 대신하는 것도 생각해 볼 예정이다.

PC 살 때 OS를 같이 안 살 수도 있도록~ ㅋㅋ

728x90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28 티스토리 블로그 전체글 메뉴표시  (0) 2020.11.28
201128 윈도우 듀얼모니터 창이동  (0) 2020.11.28
201127 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0) 2020.11.27
200926 엑셀 개체선택  (0) 2020.09.27
200809 Gitlab New project  (0) 2020.09.08
반응형

새로운 공부를 시작하기 위해 우분투를 설치하게 되었다.

버추얼 머신을 쓰려 하니 낮은 PC 사양에 무리가 갈 것 같아서... 

그냥 설치를 결심했다. 빌드를 위해 200GB 이상의 용량이 필요하다고 해서...

 

처음에 검색해서 찾은 것은 Etcher.

좋아 보였는데 용량이 크다. 100MB 정도. 완성되었다고 좋아했는데... USB 내용이 보이지 않았다.

원래 그런건가 했는데... 역시 우분투 설치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다른 것 찾았다.

 

 

용량도 작고 간편한 Rufus. 1.1MB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https://rufus.ie/

 

Rufus - The Official Website (Download, New Releases)

 

rufus.ie

 

 

선택 부분을 눌러서 다운로드 해 둔 우분투 이미지 파일을 선택.

로딩되는 기본 옵션으로 두고 그냥 시작.

 

 

 

 

"다운로드가 필요합니다. "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예" 선택.

 

 

이미지는 만드는 데 사용할 모드. "ISO 이미지 모드로 쓰기 (권장)" 선택된 상태에서 OK.

 

 

 

데이터 삭제 경고 메시지 확인.

작업이 시작된다.

 

 

 

완료 후 탐색기에 위와 같이 표시된다. 우분투는 20.04 버전.

 

 

그리고 설치를 위해 디스크 정보 확인. USB booting 설정시 위 정보를 선택한다.

"SMI USB DISK USB Device"

 

728x90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28 티스토리 블로그 전체글 메뉴표시  (0) 2020.11.28
201128 윈도우 듀얼모니터 창이동  (0) 2020.11.28
201127 우분투 USB로 설치  (0) 2020.11.27
200926 엑셀 개체선택  (0) 2020.09.27
200809 Gitlab New project  (0) 2020.09.08
반응형

개발환경) Quartus Prime 20.1 Lite Edition

Intel FPGA NiosII compile error (14703)

Error (14703): Invalid internal configuration mode for design with memory initialization

위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Tool - Platform Designer 실행.

On-Chip Memory (RAM or ROM) Intel FPGA IP 의 Memory initialization 항목에서

Initialize memory content 를 체크 해제 한다.

저장...

Generate HDL...

정상적으로 Generate 된 후 Quartus Prime에서 다시 compile 하면 error 가 해결된다.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104 케이블 사이즈 참고자료 (Cable size)  (0) 2021.01.04
201222 OrCAD Netlist ERROR(ORNET-1026)  (0) 2020.12.22
201123 불량사례 ULN2803 파손  (0) 2020.11.25
201112 NAND vs. NOR flash  (0) 2020.11.12
200929 STM32F103 - PWM (TIM4_CH2)  (0) 2020.10.15
반응형

ULN2803 사용중 파손 사례

위와 같은 구조에서 24V pump를 Pin1, Pin2에 연결하고 구동 중 어느날 펌프가 동작하지 않아서

보드 교체 후 확인해 보니 입력의 변화에도 출력의 변화가 없었다.

테스트용 24V LED를 연결하면 LED가 항상 켜져 있었다.

테스터기의 다이오드 측정 모드로 하여 Pin1(24V) 과 Pin2 (Output) 사이를 역방향으로 측정하면 - 0.4 V가 측정된다.

정상적인 다른 포트를 측정 (예를 들어, Pin3과 Pin4 사이를 역방향으로 측정) 하면 0.757V 가 측정된다.

따라서 특정 포트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되어 ULN2803을 교체했다.

설계상 pump 구동 전류는 충분하다. 보드 수리 후 현재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고 있다.

정상적인 다른 포트를 테스터기로 측정했을 때 0.757V가 측정된 이유는 아래 ULN2803 구조에서

Output C와 COM 사이를 정방향으로 측정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회로에서 COM에 24V가 연결되어 있고

Output C를 측정단자의 ( + ), COM을 측정단자의 ( - ) 로 측정한 결과로 판단된다.

 

ULN2803의 정상 상태 확인용으로 테스트해 볼 수 있겠다.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22 OrCAD Netlist ERROR(ORNET-1026)  (0) 2020.12.22
201117 Intel FPGA Nios Error (14703)  (0) 2020.11.25
201112 NAND vs. NOR flash  (0) 2020.11.12
200929 STM32F103 - PWM (TIM4_CH2)  (0) 2020.10.15
201013 백래시  (0) 2020.10.13
반응형

 

NAND vs. NOR flash의 비교

 

 

아래 나무위키에 정리된 내용 참고.

 

https://namu.wiki/w/%ED%94%8C%EB%9E%98%EC%8B%9C%20%EB%A9%94%EB%AA%A8%EB%A6%AC

 

 

플래시 메모리 - 나무위키

한 셀에 몇 단계의 데이터를 담는가에 따라 나누기도 한다. 구분QLC(Quad Level Cell)OLC(Octa Level Cell)용도높은 저장 속도와 내구성 위주적절한 속도, 내구성, 약간 낮은 용량 위주용량과 속도, 내구성

namu.wiki

 

원하는 내용만 간단 정리. ^^

 

NOR : 읽기 빠름.

NAND : 쓰기 빠름.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17 Intel FPGA Nios Error (14703)  (0) 2020.11.25
201123 불량사례 ULN2803 파손  (0) 2020.11.25
200929 STM32F103 - PWM (TIM4_CH2)  (0) 2020.10.15
201013 백래시  (0) 2020.10.13
200928 SystemWorkbench - 문자열 연결  (0) 2020.09.28
반응형

 

개발환경) System workbench

 

// PortD
#define PIN_WIPER_PWM_IN GPIO_Pin_13 // PD13

void InitGPIO(void)
{
	GPIO_InitTypeDef GPIO_InitStructure;
	RCC_APB2PeriphClockCmd(RCC_APB2Periph_GPIOD, ENABLE);
	GPIO_InitStructure.GPIO_Speed = GPIO_Speed_50MHz;
	GPIO_InitStructure.GPIO_Pin = PIN_Z_CLK_CNT | PIN_UNWIND_PWM_IN1 | PIN_UNWIND_PWM_IN2 | PIN_WIPER_PWM_IN ;
	GPIO_InitStructure.GPIO_Mode = GPIO_Mode_AF_PP ;
	GPIO_InitStructure.GPIO_Speed = GPIO_Speed_50MHz;
	GPIO_Init(GPIOD, &GPIO_InitStructure);
}


void InitTimer_Pwm(void) 
{ //TIMER4
	/* TIM4 clock enable */
	RCC_APB1PeriphClockCmd(RCC_APB1Periph_TIM4, ENABLE);

	/* Time base configuration */
	TIM_TimeBaseInitTypeDef TIM_TimeBaseStructure_TIM4;
	TIM_TimeBaseStructure_TIM4.TIM_ClockDivision = TIM_CKD_DIV1;
	TIM_TimeBaseStructure_TIM4.TIM_Prescaler = 3-1;	// 72Mhz / 3 = 24Mhz
	TIM_TimeBaseStructure_TIM4.TIM_Period = 1000-1;	// 24Mhz / 1000 = 24Khz (PWM 주기는 24Khz)
	TIM_TimeBaseStructure_TIM4.TIM_CounterMode = TIM_CounterMode_Up;
	TIM_TimeBaseInit(TIM4, &TIM_TimeBaseStructure_TIM4);

	/* PWM1 Mode configuration */
	TIM_OCInitTypeDef TIM_OCInitStructure_WIPER;
	TIM_OCInitStructure_WIPER.TIM_OCMode = TIM_OCMode_PWM1;
	TIM_OCInitStructure_WIPER.TIM_OCPolarity = TIM_OCPolarity_High;
	TIM_OCInitStructure_WIPER.TIM_OutputState = TIM_OutputState_Enable;
	TIM_OCInitStructure_WIPER.TIM_Pulse = (int)(nFanDuty * 10); // Duty 설정. nFanDuty (0 ~ 100)
	TIM_OC2Init(TIM4, &TIM_OCInitStructure_WIPER);
	TIM_OC2PreloadConfig(TIM4, TIM_OCPreload_Enable);
	TIM_Cmd(TIM4, ENABLE);
}

728x90
반응형

'공부 >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23 불량사례 ULN2803 파손  (0) 2020.11.25
201112 NAND vs. NOR flash  (0) 2020.11.12
201013 백래시  (0) 2020.10.13
200928 SystemWorkbench - 문자열 연결  (0) 2020.09.28
200925 스텝 모터 드라이버 (TB6560AHQ) excitation mode  (0) 2020.09.26
반응형

백래시에 대한 이해를 위해 검색하여 얻은 내용 간략 정리.

백래시 : "톱니와 톱니 사이의 설계상 틈새"

양 방향 운전시 톱니와 톱니 사이의 틈 때문에 원하는 위치에 도착하지 않게 된다.

톱니의 틈은 작은 차이지지만 ARM 끝에서는 큰 차이가 발생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 참고)

cafe.naver.com/inamotor/7025

 

백래시와 로스트 모션이란?

세미나 : https://www.inaom.co.kr/count/cafecount.do?para=22 학생 : 최근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사람의 작업을 대체하는 로봇에 대...

cafe.naver.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감으로하는 영어 (기타 비교 부정 구문)

 

1. no less 직업명사 than 사람 : "다른 사람이 아닌 바로 그 '직업'의 그 '사람'

ex) no less a linguist than Jackendoff

(다름 아닌 언어학자 Jackendoff)

2. no better than : ~ 보다 더 나을 것이 없는 (= as good as, almost)

ex) He is no more than a begger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