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계약이 만기되어 다음달에 이사가기 위해 집 정리하고 나온 헌옷.

연장하고 싶었지만 집 주인이 들어온다고 하여 연장하지 못하고 나가야 한다. ㅡ.ㅡ;

 

와이프가 못 입는 헌옷을 정리한 것이 이만큼 나왔다.

결혼하고 내가 살쪄서 못 입는 옷도 많고. 젊을 때 내 옷도 많다.

 

 

다섯 봉지에 전자랜지 하나.

 

헌옷 수거는 와이프가 검색해서 알아본 헌옷삼촌에 예약을 했다.

방문하기 하루전에 예약환인 문자가 오고 당일날 도착하기전에 전화도 왔다.

 

 

헌옷삼촌 헌옷수거 헌옷방문수거 유품... : 네이버 카페

저희는 헌옷을 전문적으로 매입해드리며 버리기 힘든물건 집안에 있는 쓰레기들을 돈으로 바꾸어드립니다

cafe.naver.com

 

신발과 옷은 분리해 놓아야 한다.

수거 아저씨가 오셔서 신발을 확인해 보시더니 아래 왼쪽 사진의 신발 2개는 빼셨다. 이런 신발은 수거하지 않는다고 하셨다. ㅡ.ㅡ;

 

 

안쓰는 전자랜지. 버려야지 하면서 수거업체에 연락하지 못 했던 것을 이제야 버리게 되었다. 

좀 더 빨리 연락할 걸... 코로나가 터지면서 가격이 많이 떨어졌다. ㅡ.ㅡ;

정말 오래된 전자랜지다. 아마 1996년 정도에 산 거 같다. 친형과 같이 자취하던 시절 쓴 전자랜지~ ^^;

사용을 안 했을 뿐 고장난건 아니다.

 

 

전자랜지 부터 무게를 측정하고 옷들을 이렇게 무게 측정했다.

 

 

갑자기 생각나서 급히 추가된 커튼도 측정하는 아저씨. 

 

 

수거하고 금액을 적어주신 후 돈을 주고 가셨다. 4,450원 나왔는데 4,500원 주고 가신 아저씨~ ^^

무게 나가는 고철이 제일 싸네. ㅡ.ㅡ;

 

명함도 주고 가셨다. 다양한 물품이 수거가 되는데. 후라이팬이 눈에 띈다.

버릴 후라이팬은 모아 두어야 겠다. 수량이 조금 되면 수거하러 오신다고 하셨다.

책, 이면지도 창고에 모아두었다가 다음에 팔아야지~

아파트 재활용 수거에 안 넣고 모아서 팔 수도 있겠다~ ^^  

 

 

 

 

 

 

728x90
반응형
반응형

 

 

터미널 프로그램 PuTTY log (로그) 방법.

옛날에는 윈도우의 하이퍼터미널을 주로 사용했는데 지금은 PuTTY를 사용한다.

하이퍼터미널의 캡춰 기능 같은 로그 기능을 PuTTY에서도 확인해 보았다.

 

PuTTY 설정에서 

Session - Logging 부분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Session Logging을 All session output을 선택. 참고로 기본으로 None으로 되어 있다.

Log file name에 log할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Browse로 위치도 지정할 수 있다.

 

나머지는 기본 옵션으로 선택했다.

 

 

이와 같이 설정하고 Open 을 하고 터미널에 메시지가 발생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가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된다.

 

 

Log 파일명에 옵션을 주면 년, 월, 일, 시간까지 파일명에 넣을 수 있다.

&Y (년), &M (월), &D (일), &T (시간)을 옵션으로 준 예이다.

putty_&Y&M&D_&T.log

 

참고로 위 설정을 저장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장한 설정을 Load 해서 사용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이번 설날 연휴 때 티비에서 방영된 설날 특선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

2018년 개봉했구나. ^^

 

개봉 후 국내에서 큰 흥행을 했는데... 이 때 왜 못 봤을까?

한창 아기를 돌볼때 였구나~ 

 

 

설날 특선 영화가 하기에 봤다.

히트곡이 많아서 들으면 아는 곡이 많은 전설의 그룹 퀸.

영화를 보다 보면 이 곡도 퀸의 곡이야? 할 만큼 익숙하게 들었던 곡도 많다.

 

영화 초반에는 기대했던 것에 비해 조금 미흡한 느낌.

이 영화가 왜 흥행했지? 이런 느낌이 들었다.

 

프레디 머큐리와 팀원간의 불화... 솔로로 독립하면서 방황하고... 머큐리의 동성애까지도 나온다...

록그룹 퀸의 일대기를 보는 것 같다. 이런 일이 있었구나...

머큐리가 에이즈에 걸리고, 멤버들에게 사과하며 다시 부활한 그룹.

머큐리가 죽었다는 것은 알았지만 어떻게 죽었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유명한 뮤지션이 모두 참가하는 자선 공연에 퀸이 참가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영화는 끝이난다.

보헤미안 랩소디라는 제목만 보고 이 곡이 탄생하게 되는 이야기가 주된 내용인 줄 알았는데.

내용은 퀸의 일대기였다.

 

마지막 공연 부분은 콘서트를 보는 느낌이였다.

이 부분 때문에 국내에서 크게 히트한 이유를 이해하게 되었다.

영화지만 마치 퀸의 콘서트 장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의 열광적인 공연을 영화로 잘 만들었다.

다시 보지 못하는 퀸의 공연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좋은 영화다.

 

 

 

728x90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221 헌옷삼촌 이벤트 신청 결과  (0) 2021.02.21
210220 헌옷삼촌 헌옷 수거  (0) 2021.02.21
210210 자동차 정비 이력 확인  (0) 2021.02.14
210212 휴대전화에서 TV 보기  (1) 2021.02.13
210212 영화 소울 감상평  (0) 2021.02.12
반응형

 

 

 

Excel 버전. Microsoft 365.

 

데이터를 터미널로 로그해 놓고 분석할때 엑셀을 주로 쓴다.

로그한 내용을 텍스트로 저장하고 분석할 때 특정 문자열 또는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한다.

이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인데 매번 검색하다가 이제는 정리해 놓는다.

 

엑셀로 로그한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연다. 

 

열면 로그한 내용이 첫 번째 열에 나온다. 텍스트를 구분할 항목을 선택한다.

주의) 열은 반드시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 

 

 

데이터 메뉴 내의 텍스트 나누기를 선택한다.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자로 분리된 데이터 이므로 구분 기호로 분리됨을 선택 후 다음.

 

 

구분 기호를 선택한다. 

예로 든 데이터의 경우 ':' 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기타를 선택해서 ':' 을 입력하였다.

데이터 미리 보기에 구분된 내용이 나타난다. 다음.

 

 

열의 데이터 서식을 지정한다.

서식은 분리된 후에도 지정할 수 있으니 마침 선택.

 

 

아래와 같이 데이터가 분리되어 열이 나누어졌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기욤 뮈소 장편소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올해 두번째 독서한 책이다. 와이프가 가지고 있던 책. ^^

 

 

책의 내용중 일부분 기록.

  꿈이란 억압된 욕망의 표현에 불과했다.

  정신적 균형을 과도하게 깨뜨리지 않는 상태에서 무의식을 표출하는 일종의 배출구 같은 것이다.

 

간단한 독후감.

  과거의 자신에게 세 가지 약속을 받고 일리나를 살릴 방법을 알려준다.
  그러나 사고로 부터 일리나를 살리지만 헤어짐의 충격에 일리나는 자살하고, 그것으로 인해 바뀌게

된 현재...
  과거로 다시 돌아가 일리나 수술을 집도하여 살린다.
  그리고 30년 후 폐암으로 죽음을 맞는 주인공.
  친한 친구 매튜는 마지막 노트를 읽고 하나 남은 알약을 이용해 과거로 돌아가 주인공을 살린다.
  모두가 살아나는 행복한 결말의 소설이다.

 

영화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재미있게 읽을 소설이다.

흔한 시간여행의 이야기에 재미와 감동을 더해 주었다.

한번쯤은 재미로 읽어 볼 만한 소설로 추천한다.

 

 

 

728x90
반응형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411 빨간머리 앤  (0) 2021.05.11
210508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  (0) 2021.05.09
210106 공부상처  (0) 2021.01.16
201220 제인 오스틴의 에마  (0) 2020.12.28
201010 해리포터 마법사의 돌  (0) 2020.10.14
반응형

 

 

전원을 넣은 후 보드의 전원 LED가 안 켜져서 이상하다 싶었는데...

1 ~ 2 초 후 큰 소리와 함께 폭파!

왜 파손되었지?

 

 

확인을 해 보니 전원 케이블의 커넥터 부분 핀맵이 잘 못 되었다.

24V 전원이 거꾸로 인가 되었다.

220uF / 35V가 파손되었다.

 

파손되면서 윗 부분이 열리는 것은 보았지만 케이스가 완전히 파손되어 버린 것은 처음이다.

주변에 파편들과 함께...

 

초기 설계가 잘 못된 보드를 테스트용으로 쓰다보니 잘 못된 배선에 바로 파손되었다.

Fuse를 거쳐서 전원이 들어오도록 설계하여 잘 못된 전원 인가시 fuse가 먼저 파손되도록 해야 한다.

보드 설계할 때 항상 주의할 체크 포인트!!!

수정된 보드는 위 사항이 반영되어 있다. ^^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기업일 경우 Visual studio community license가 무료일까?

그래서 검색해 보았다. 

아래는 누군가가 문의한 내용에 대한 MS의 답변.

 

 

아래는 정식 라이선스 관련 문서.

 

visualstudio.microsoft.com/ko/license-terms/mlt031819/

 

MICROSOFT VISUAL STUDIO COMMUNITY 2019 - Visual Studio

 

visualstudio.microsoft.com

 

 

위 내용 문서 첨부.

VS_Community_2019_KOR.1042.docx
0.03MB

 

그래서 중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a. 개별 라이선스. 판매 또는 다른 목적으로 고유한 응용 프로그램에 개별적으로 작업하는 경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테스트를 목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 조직 라이선스. 조직인 경우 귀사의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귀하가 기업인 경우에는 그 직원 및 계약자가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또는 테스트를 목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 상기 허용된 범위 내에서 (i) 오픈 소스, (ii) Visual Studio 확장, (iii) Windows 운영 체제를 위한 장치 드라이버, (iv) SQL Server 개발, 그리고 (v) 교육 목적은 여기서 제외됩니다.

 

  "기업"이란 통칭 (a) 250대보다 많은 PC 또는 250명보다 많은 사용자가 있거나 (b) 연간 매출이 미화 1백만 달러(또는 다른 통화에서 이와 동등한 금액) 이상을 초과하는 조직 및 그 계열사이며, "계열사"란 조직을 통제하거나(과반수 소유권을 통해) 조직의 통제를 받거나 조직과 공동 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모든 업체를 의미합니다.

 

참고) 미화 1백만 달러 = 한화 10억원.

 

기업인데 규모가 20명 정도 이고 연간 매출이 10억원 이상이면? (b)에 해당되어서 안 되는구나...

 

위 사항을 잘 알고 기업에서는 Visual studio community를 쓰지 말아야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처럼 탐색기로 삭제를 하니 우분투는 삭제 진행상태가 제대로 보이지도 않고...

삭제를 취소할 줄도 모르겠다...

파일이 작을 경우 금방 삭제되니까 문제 없는데...

소스가 많은 파일은 삭제를 하면 삭제가 진행중인지 전혀 알 수가 없다. ㅠ.ㅠ

 

터미널을 써서 삭제 상태를 확인해야할 것 같다.

그런데 간단히 삭제 명령만 쓰면 삭제 상태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찾은 삭제 명령. 주로 아래의 명령을 쓴다.

 

rm -rfv folder/
rm -rfv folder/

즉, 디렉터리 삭제, 강제 삭제, 삭제되는 내용 표시 이다.

 

옵션 설명은 아래와 같다. (from wiki)

rm에 덧붙여 사용할 수 있는 옵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r, 디렉터리를 삭제한다, 하위의 내용을 먼저 삭제한다. (하위에 존재하는 파일이 남아있으면 안 되기 때문에) ("recursive", 재귀적으로)

  • -i, 삭제를 할 때에 매번 삭제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다. ("interactive", 대화식으로)

  • -f,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무시하고 어떠한 확인 메시지도 보여주지 않는다. ("force", 강제로)

  • -v, 삭제를 하는 동안 삭제되는 내용을 보여준다 ("verbose", 장황하게)

 

 

rm (유닉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m (remove의 축약)은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파일을 삭제할 때에 사용되는 유닉스 명령어이다. rm에 덧붙여 사용할 수 있는 옵션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r, 디

ko.wikipedia.org

 

아래 이미지와 같이 -v option을 주면 삭제되는 내용을 볼 수 있어서 

많은 파일을 삭제할 때 삭제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